[Architecture] 2004년(平成16년)도 전중상
Science 2010. 11. 9. 20:41 |[출처] 2004년(平成16년)도 전중상|작성자 비
平成 16년도 일본 토목학회 전중상 작품부분
(JSCE Tanaka Prize Work for 2004)
며칠전에 일본 토목학회에서 출간하는 책
"橋 2003-2005 Bridges In Japan" 을 샀습니다.
2003년까지 전중상은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편집해서 올린거였죠..
그책을 보닌까..2003년꺼와 2004년것이 있어서...
이렇게 블로그에 올릴까 합니다..2003년꺼는 업그레이드 했고요..
2004년꺼는 이 포스트에 정리해서 올립니다.
단, 책에 내용을 스캔해서 올릴 수도 있지만 아직 그럴 단계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서핑하여..자료 구해서 편집해서 올립니다...
2003년 전중상, 2004년 전중상을 보게 되면 하이브리드교량, 복합교량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그러닌까..
일본에서는 많이 일반화 되었다는거죠
기존 개념으로 보게 되면.. 좀 이해하기 어렵고 구조적 거동에 복잡, 무모한 것처럼 느끼지만...
그런 시대의 흐름인 것 같습니다. 일본의 경제 침체기 동안 경제성 향상을 위한 교량들이 생겨 났는데..그게 이런 복합교량 형식이라는 얘기를 듣은 적이 있습니다..우리 또한 자꾸만 경제성을 요구하는 시기인 만큼...무작정 일본 교량 형식을 따라 하기 보다는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해 더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교량이 생겨 놨으면 하는 생각과 교량 전문가들의 기존 설계 개념이나 형식적 특징에 대한 개연성, 유연성도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저도 지금 하고 있는 설계 VE에 PCT 교량이 있습니다..
근데..설계 기준에 안 맞고 기준 적용이 모호하닌까..
자꾸만 불안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또 쓸데 없는 얘기 열라 많이 했네요...
나이가 들면 왜 말이 많은지 알겠다닌까요..
참 그리고 전중상 사이트를 밑에 적으니 한번 들어가서 보세요.
http://www.jsce.or.jp/committee/tanaka-sho/top.htm
http://www.jsce.or.jp/committee/tanaka-sho/jyushou/sakuhin.htm
1. 神戶新交通 CFT ガ-ダ-橋 , KobeNewtransit CFT girder Bridge
- 교량 형식: 3경간 연속 강상판(강바닥판) CFT 거더교
CFT(Concrete - Filled Steel Tube),
그냥 강관에 콘크리트 충진한 넘 입니다
- 교량 연장: L=52.3+87.9+52.3 =192.5m(책에는 193.342m)
- 단면 구성: 강바닥판 + 웨브 + 하부 강관
- 준공연도: 2004. 8
- 특징: 지점부만 강관에 콘크리트 충진 시킴
2.はまゆう大橋, Hamayu Bridge
- 교량 형식 : 9경간 연속 PSC 라멘식(부분적 강결) 박스 거더교
- 교량 연장: 62.5+7@95+62.5=790m (최대 경간 95m)
- 준공 년도: 2004. 1
- 가설 방법
: 이동식 가설재(거더) 이용한 캔틸레버 공법(일명 P&Z공법) 과 보조가설재를 이용한 캔틸레버 공법
-특징
: 지점부(주두부)의 강결은 상하부를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일체 시킨것이 아니라 .
수직 수평의 PC 긴장재로 긴장 강결 시키고, 상부단면이 교좌받침 부분에 활동판 (스테인레스판 + 테프론 판)을 설치, 시공시 전도 안정성을 고려하여 강재 스토퍼를 설치 함)
3. 失作川橋(豊田アロ-ズブリッジ), Toyota arrows bridge
- 교량 형식: 세계 최초 파형강판 웨브 PC 강 복합 사장교
- 교량 연장: 175 +235+235+175 =820.0m(최대 경간장 235m)
- 준공연도: 2005. 3
- 특징: 강 콘크리트 혼합교량
경간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파형강판 웨브 PC 박스 구간: 340.9m(양측경간)
> PC 강 접합부 : 5m(중앙부)
> 강바닥판 박스 거더교: 127m(중앙교각 지점부)
- 얼핏 보면 3경간 사장교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4경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교각이 설치되어 있고..그 교각부에 강바닥판 박스 거더교가 올려져 있음.
왜 이런 경간구성을 했는지 잘 이해가 안가며..마치 2개의 사장교 교량이 연속해서 연결된 느낌임.
- 주탑에서 보강형을 받치는 가로보 연결부에는 강재 프레임이 묻혀 있으며 , PC 긴장재로 긴장도 함..--> 자세한 것은 책을 참조
즉 주탑 가로보 연결부에는 RC, Steel, PC가 한데 있는 경우임..
- 주탑의 형식과 케이블 배치 형식도 특이함.
4. 謙信公大橋, Kensinko-Ohashi Bridge
- 교량 형식: 단순 일면 2연 로제 아치교(트러스 아치교)
- 교량 연장: L= 86.35+ 155.05=241.4m(최대 경간 152.9m)
- 준공년도: 2003.4
- 가설 방법: 동바리 + 가설 벤트
- 특징: 사재는 강관이며 경관적으로 뛰어남 교량(아치리브에 노란색...희한하네요)
5. 日見夢大橋, Himiyume-Ohashi Bridge
- 교량 형식: PC 3경간 연속 엑스트라도즈교
- 교량 연장: L= 92.5+180+92.5 =365.0m
- 준공 년도: 2004.3
- 가설 방법: 초대형 특수 이동 작업차 이용(F/T,10000 kN.m)
- 특징: 엑스트라도즈교에 파형 강판 웨브를 적용한 최초의 교량
케이블 정착부 단면에는 강재프레임(다이아프램)을 적용
6. 靑雲橋, Seiun Bridge
- 교량 형식: 자정식 PC 조상판 구조를 이용하여 가설한 PC 복합 트러스(PCT 교량)
- 교량 경간: 97.0m
- 준공 년도: 2004. 12
- 특징
: 교대 뒷 쪽으로 그라우팅 앵커를 설치, 가설 방법이 조상판 가설
(현수교의 캣워크와 비슷함)후 사재 가설, 상부 콘크리트 가설
-> 자세한 사항은 책을 참조
7. 富士川橋, Fujikawa Bridge
- 교량 형식: 강 콘크리트 복합 아치교 (일본 최초로 도입된 복합아치교)
- 교량 연장: L=381m(최대 경간장 265m)
- 준공 년도: 2005. 3
- 가설 방법: 아래 삽도가 있으니 참조하세요..(어려워서)
- 특징
: 수직재와 아치리브는 축력지배 구조이므로 콘크리트를 상부 거더는 자중을 경감시키기 위해 I형 거더를 적용하였음..바닥판은 PC 바닥판 적용. 정확한 해석인지는 몰라도..책에 의하면 기존 콘크리트 아치교 보다 자중을 40% 줄여 경제성을 향상 시켰다고 함.
> 가설 시공 순서도
Step 1. 하부공 시공
Step 2 아치리브 제 1차 캔틸레버 가설
Step 3 아치리브 제 2차 캔틸레버 가설
Step 4. 중앙 폐합(Key Seg 접합)
Step 5 연직재, 주형 시공
Step 6 PC 바닥판 시공
다 했씁니다..잠깐 저장부터 해야겠네요..
한번 다 읽어 보신분은 제가 쓴 글만으로 교량 형식이나 단면 구성등이 연상이 되는가요..참 복잡해졌어요...복합교량이라고 해서 그런지...
그냥 복잡 교량 같다는 느낌이 들죠...하지만 구조 및 재료적 특징, 단면 효율성, 시공의 합리화, 등등이 많이 향상 된거죠.. 경제성은 당연히 절감 되고요... 이젠 복합교량에 친해져야 할 것 같습니다...먹고 살려면...
[출처] 2004년(平成16년)도 전중상|작성자 비
平成 16년도 일본 토목학회 전중상 작품부분
(JSCE Tanaka Prize Work for 2004)
며칠전에 일본 토목학회에서 출간하는 책
"橋 2003-2005 Bridges In Japan" 을 샀습니다.
2003년까지 전중상은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편집해서 올린거였죠..
그책을 보닌까..2003년꺼와 2004년것이 있어서...
이렇게 블로그에 올릴까 합니다..2003년꺼는 업그레이드 했고요..
2004년꺼는 이 포스트에 정리해서 올립니다.
단, 책에 내용을 스캔해서 올릴 수도 있지만 아직 그럴 단계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서핑하여..자료 구해서 편집해서 올립니다...
2003년 전중상, 2004년 전중상을 보게 되면 하이브리드교량, 복합교량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그러닌까..
일본에서는 많이 일반화 되었다는거죠
기존 개념으로 보게 되면.. 좀 이해하기 어렵고 구조적 거동에 복잡, 무모한 것처럼 느끼지만...
그런 시대의 흐름인 것 같습니다. 일본의 경제 침체기 동안 경제성 향상을 위한 교량들이 생겨 났는데..그게 이런 복합교량 형식이라는 얘기를 듣은 적이 있습니다..우리 또한 자꾸만 경제성을 요구하는 시기인 만큼...무작정 일본 교량 형식을 따라 하기 보다는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해 더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교량이 생겨 놨으면 하는 생각과 교량 전문가들의 기존 설계 개념이나 형식적 특징에 대한 개연성, 유연성도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저도 지금 하고 있는 설계 VE에 PCT 교량이 있습니다..
근데..설계 기준에 안 맞고 기준 적용이 모호하닌까..
자꾸만 불안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또 쓸데 없는 얘기 열라 많이 했네요...
나이가 들면 왜 말이 많은지 알겠다닌까요..
참 그리고 전중상 사이트를 밑에 적으니 한번 들어가서 보세요.
http://www.jsce.or.jp/committee/tanaka-sho/top.htm
http://www.jsce.or.jp/committee/tanaka-sho/jyushou/sakuhin.htm
1. 神戶新交通 CFT ガ-ダ-橋 , KobeNewtransit CFT girder Bridge
- 교량 형식: 3경간 연속 강상판(강바닥판) CFT 거더교
CFT(Concrete - Filled Steel Tube),
그냥 강관에 콘크리트 충진한 넘 입니다
- 교량 연장: L=52.3+87.9+52.3 =192.5m(책에는 193.342m)
- 단면 구성: 강바닥판 + 웨브 + 하부 강관
- 준공연도: 2004. 8
- 특징: 지점부만 강관에 콘크리트 충진 시킴
2.はまゆう大橋, Hamayu Bridge
- 교량 형식 : 9경간 연속 PSC 라멘식(부분적 강결) 박스 거더교
- 교량 연장: 62.5+7@95+62.5=790m (최대 경간 95m)
- 준공 년도: 2004. 1
- 가설 방법
: 이동식 가설재(거더) 이용한 캔틸레버 공법(일명 P&Z공법) 과 보조가설재를 이용한 캔틸레버 공법
-특징
: 지점부(주두부)의 강결은 상하부를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일체 시킨것이 아니라 .
수직 수평의 PC 긴장재로 긴장 강결 시키고, 상부단면이 교좌받침 부분에 활동판 (스테인레스판 + 테프론 판)을 설치, 시공시 전도 안정성을 고려하여 강재 스토퍼를 설치 함)
3. 失作川橋(豊田アロ-ズブリッジ), Toyota arrows bridge
- 교량 형식: 세계 최초 파형강판 웨브 PC 강 복합 사장교
- 교량 연장: 175 +235+235+175 =820.0m(최대 경간장 235m)
- 준공연도: 2005. 3
- 특징: 강 콘크리트 혼합교량
경간 구성은 아래와 같음.
> 파형강판 웨브 PC 박스 구간: 340.9m(양측경간)
> PC 강 접합부 : 5m(중앙부)
> 강바닥판 박스 거더교: 127m(중앙교각 지점부)
- 얼핏 보면 3경간 사장교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4경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교각이 설치되어 있고..그 교각부에 강바닥판 박스 거더교가 올려져 있음.
왜 이런 경간구성을 했는지 잘 이해가 안가며..마치 2개의 사장교 교량이 연속해서 연결된 느낌임.
- 주탑에서 보강형을 받치는 가로보 연결부에는 강재 프레임이 묻혀 있으며 , PC 긴장재로 긴장도 함..--> 자세한 것은 책을 참조
즉 주탑 가로보 연결부에는 RC, Steel, PC가 한데 있는 경우임..
- 주탑의 형식과 케이블 배치 형식도 특이함.
4. 謙信公大橋, Kensinko-Ohashi Bridge
- 교량 형식: 단순 일면 2연 로제 아치교(트러스 아치교)
- 교량 연장: L= 86.35+ 155.05=241.4m(최대 경간 152.9m)
- 준공년도: 2003.4
- 가설 방법: 동바리 + 가설 벤트
- 특징: 사재는 강관이며 경관적으로 뛰어남 교량(아치리브에 노란색...희한하네요)
5. 日見夢大橋, Himiyume-Ohashi Bridge
- 교량 형식: PC 3경간 연속 엑스트라도즈교
- 교량 연장: L= 92.5+180+92.5 =365.0m
- 준공 년도: 2004.3
- 가설 방법: 초대형 특수 이동 작업차 이용(F/T,10000 kN.m)
- 특징: 엑스트라도즈교에 파형 강판 웨브를 적용한 최초의 교량
케이블 정착부 단면에는 강재프레임(다이아프램)을 적용
6. 靑雲橋, Seiun Bridge
- 교량 형식: 자정식 PC 조상판 구조를 이용하여 가설한 PC 복합 트러스(PCT 교량)
- 교량 경간: 97.0m
- 준공 년도: 2004. 12
- 특징
: 교대 뒷 쪽으로 그라우팅 앵커를 설치, 가설 방법이 조상판 가설
(현수교의 캣워크와 비슷함)후 사재 가설, 상부 콘크리트 가설
-> 자세한 사항은 책을 참조
7. 富士川橋, Fujikawa Bridge
- 교량 형식: 강 콘크리트 복합 아치교 (일본 최초로 도입된 복합아치교)
- 교량 연장: L=381m(최대 경간장 265m)
- 준공 년도: 2005. 3
- 가설 방법: 아래 삽도가 있으니 참조하세요..(어려워서)
- 특징
: 수직재와 아치리브는 축력지배 구조이므로 콘크리트를 상부 거더는 자중을 경감시키기 위해 I형 거더를 적용하였음..바닥판은 PC 바닥판 적용. 정확한 해석인지는 몰라도..책에 의하면 기존 콘크리트 아치교 보다 자중을 40% 줄여 경제성을 향상 시켰다고 함.
> 가설 시공 순서도
Step 1. 하부공 시공
Step 2 아치리브 제 1차 캔틸레버 가설
Step 3 아치리브 제 2차 캔틸레버 가설
Step 4. 중앙 폐합(Key Seg 접합)
Step 5 연직재, 주형 시공
Step 6 PC 바닥판 시공
다 했씁니다..잠깐 저장부터 해야겠네요..
한번 다 읽어 보신분은 제가 쓴 글만으로 교량 형식이나 단면 구성등이 연상이 되는가요..참 복잡해졌어요...복합교량이라고 해서 그런지...
그냥 복잡 교량 같다는 느낌이 들죠...하지만 구조 및 재료적 특징, 단면 효율성, 시공의 합리화, 등등이 많이 향상 된거죠.. 경제성은 당연히 절감 되고요... 이젠 복합교량에 친해져야 할 것 같습니다...먹고 살려면...
[출처] 2004년(平成16년)도 전중상|작성자 비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imal] 고양이의 기분 (0) | 2011.02.03 |
---|---|
[인체] 섹스를 하면 몸안에서 생기는 일들- (0) | 2010.12.18 |
[한국전통건축] 공포양식 이해하기 (0) | 2010.10.19 |
[Animal] 신비하고 매력적인 고양이 소개 (0) | 2010.10.01 |
무신론 Vs 유신론 (0) | 2010.07.30 |